투고에 관한 규정(Submission policies)- 본지에서는 투고된 모든 원고에 대해서 이전에 다른 곳에서 출판되거나 투고된 적이 없다고 가정한다. 유사 또는 관련 연구내용이 출판되었거나 다른 곳에 투고된 적이 있는 경우에는 투고된 논문 초안의 사본을 첨부해야하고, 본지에 투고된 원고와 동일한 연구내용은 심사 중인 동안 다른 곳에 투고할 수 없다. - 각 저자의 주된 소속기관(affiliation)은 연구의 많은 부분이 수행되었던 기관이어야 하며, 소속이 바뀐 경우에는 현재의 소속기관 주소를 명시해야 한다. 본지는 소속관할에 관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관여하지 않는다.- 원고에 개인적 의사교환 내용이 포함된 경우에는 인용된 사람의 승인내용을 서면형식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이메일로 보낸 승인도 가능하다.- 본지에서 논문 초안이 심사되어 통과된 이후라도 과학적 내용이나 출판윤리위반으로 인해 문제가 명백한 경우에는 다시 탈락시킬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전달(Transfers)- 이전에 다른 네이처 연구저널에 투고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본지의 자동 원고 전달 서비스(automated manuscript transfer service)를 이용하여 논문을 투고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전 심사과정의 참고나 관련성 없이 처음부터 새로이 평가를 시작하게 된다.- 네이처 내 연구 분야별 편집위원회는 각기 독립적이므로 어느 분야에 원고를 투고할 지는 저자 고유의 권한이다. 연구내용이 두 개 이상의 분야에 적용 가능한 경우에는 저자가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저자의 책임- 저자본지에서는 저자 전원이 투고된 연구내용 전체에 동의한다고 간주하므로, 원고 투고 시 표지에 모든 저자가 서명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나열된 저자들의 서열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는 전제 저자들의 동의를 확실하게 해야 하며, 출판 전과 후에 출판하는 측과 모든 저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책임진다. - 협동연구 시 선임(senior) 팀장의 역할여러 그룹들로 구성된 협동연구 시 일반적으로 가장 시니어급의 팀장이 투고된 연구에서 사용한 원본데이터의 보존 및 재분석을 위한 검색이 항상 가능하도록 하고, 원본데이터를 표현하는 데이터 표시방법을 승인하며, 연구에서 설명된 데이터, 자료, 알고리즘 및 시약의 공유와 관련된 방해요소의 예측 및 최소화를 위한 책임을 담당하도록 한다.- 저자의 기여도논문 초안에 각 저자의 연구기여도에 관해 언급하도록 한다. 본 기관에서는 최대 6명까지의 공동저자가 동일하게 분담하여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하며 교신저자는 보통 3인 이하로 규정한다. 예를 들면 ‘A와 B, C와 D는 연구본문 내용을 작성했고, E와 F는 그림 1-3을 담당하여 작성하였으며 다함께 원고를 검토하였다’와 같이 쓰는 경우이다.- 교신저자(출판 전 책임)교신저자는 본지와 공동 저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담당하는 역할로서, 원고투고 전 모든 저자들이 저자 리스트에 포함되었고, 모든 저자들이 저자순서에 동의를 하였는지 확인해야 하며, 논문의 투고 여부에 관해서도 모든 저자가 알고 있게 한다. 심사통과가 되면 다음 후속 절차는 교신저자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출판 이후의 어떠한 저자 정보관련 오류에 관해서도 본지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교신저자(출판 후 책임)본지에서는 출판된 연구내용에 관해 발생하는 모든 질문사항은 교신저자를 통해서 절차가 이루어진다. 교신저자는 관련 질문들이 해당 저자들로부터 신속하게 답변되도록 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며 출판된 연구물에 자신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명시해야 한다.- 기록내용 수정출판된 연구내용의 자료(material)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즉시 해당 자료의 저자가 본 기관에 통보해야 한다.- 비공개 과정본지에서는 투고된 논문 초안과 저자 및 심사위원과의 모든 커뮤니케이션 내용을 비공개로 진행한다. 본 기관과의 사전 동의 없이 공개하는 일은 절대 없어야 한다. - 심사위원 제안저자는 원고 투고 시 적절한 독립적인 심사위원을 추천하거나, 심사위원으로 제외시켰으면 하는 개인이나 연구기관을 본지에 제안할 수 있다. 본지에서는 최대한 저자의 요구를 수용하고자 하나, 심사위원의 최종 선택은 편집위원회에서 하게 된다.▣ 라이센스 동의 및 저작권(copyright)본지에서 출판된 연구논문의 원본에 저작권을 부여하지 않도록 한다. 원고들은 CC BY licens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로 출판되는데, 이 라이센스는 최대한 많은 확산을 권장하고 공개접근용 자료의 재사용을 허용함으로써 많은 연구재단에서 선호하는 형태이다. 이 라이센스 하에서는 사용자가 무료로 연구내용을 공유(복사, 배포 및 전달)할 수 있고,저자와 라이센스 제공자가 지정하는 방식에 따라 상업용 목적으로도 내용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보도금지(embargo) 정책 및 보도- 타 매체와의 의사소통원칙적으로 본지에 투고된 자료는 보도금지 기간이 설정된 후 타 매체와 논의할 수 있도록 특별히 허용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타 매체를 통해 논의될 수 없다. 특별히 뉴스거리가 되는 연구논문의 경우에는 본사 보도국에 의해 등록된 리스트로 내보낸다. 저널리스트들은 다루고자 하는 논문 전체를 읽은 후, 해당 논문의 교신저자의 연락처를 받아 연락하게 되며, 연락을 받은 저자들은 저널리스트들과 원활한 협조를 통해 매체 측에서 그들 연구에 대하여 정확하고 균형 있게 보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자가 연구논문을 자체 출판하는 경우에도 본지의 보도금지 정책을 준수해야 하며 본지의 출판사와 협조하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게 한다. 매체 보도금지는 과학자, 저자, 저널리스트 및 대중을 위한 것으로 본 정책은 연구내용이 완전하게 마무리되어 출판 예정인 최종본을 대상으로 코멘트 제공을 할 수 있도록 매체들에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취지이다. 그리고 나서 출판 전에 저자와 해당 기관 보도국은 매체와 접촉하여 후속사업에 대하여 논의할 수 있다.- 연구자간의 의사소통본지에서는 연구자간의 의사소통 및 의견교류를 방해하지 않고자 컨퍼런스에서 논의되었거나 출판 전 논문자료 저장소(preprint server)에 게시되는 논문의 경우, 그 결과로서 매체에서 선택하는 경우에는 예외적인 보도금지 규칙이 적용된다. 본지에서는 위와 같은 상황에서 저자 또는 잠재적 저자들에게 다른 연구자들과 가능한 한 많은 논의를 갖도록 권장한다. 커뮤니티 preprint server상에서나, 연구미팅, 컨퍼런스 프로시딩에서 초록출판, 학술 논문에서, 또는 위키 같은 온라인 통합사이트 등에 의해서 다양한 논의를 권장하나 보도진에 의해 성급한 출판은 하지 않도록 한다.▣ 동물과 인간 대상의 실험을 포함하는 경우 살아있는 척추동물이나 고등 무척추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한 경우에는 실험방법을 언급하는 부분에서 반드시 실험을 승인한 기관 및 위원회에 대한 정보를 밝히고 모든 실험이 관련 규정을 준수했다는 확인내용을 명시해야 한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의 경우, 저자는 실험을 승인한 위원회명을 밝히고 참가자 또는 참가자의 법적 보호자가 사전에 실험 관련 정보를 설명 받았다는 내용을 연구내용에 포함시켜야 한다. 이식실험에 관한 연구의 경우에는 추가의 정보가 필요하다.- 신원확인 정보실험 대상자의 이름과 기타 “건강보험 양도 및 책임에 관한 법(HIPAA,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신원 정보는 추가자료를 포함하여 원고 모든 부분에서 삭제되어야 한다. 참가자의 신원 확인 요소가 될 수도 있는 다른 정보의 출판에 대해서도 서면형식의 승인서가 필요하다. 정보 및 이미지를 식별하는 출판을 위한 승낙서를 확인하는 내용이 반드시 연구방법 부분에서 명시되어야 하고 승인없이 사용된 부분은 원고에서 모두 삭제되어야 한다. 실험 참여자의 눈 색깔과 얼굴색과 관련될 수 있는 칼라 도표 및 모양들은 익명성을 모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절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인간 이식 연구본지는 죄수로부터 확보된 장기 및 조직세포가 관련된 연구는 받지 않는다. 인간 이식 연구 관련 연구자는 위에서 언급한 기본 요구조건 외에 죄수로부터 확보된 장기 및 조직세포를 사용하지 않았음을 연구내용에 포함시켜야 한다. 연구자는 장기 및 조직세포를 확보한 기관/병원/부서 관련 상세 내용을 명시해야 하며, 기증자의 사생활이 침해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본지에서는 제공된 실험동의안과 윤리에 관한 승낙서, 그리고 기증자 장기 및 조직세포 출처와 관련된 문서를 제시하도록 요구하는데,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인 경우에는 공증 번역본을 함께 제출해야 한다. 이러한 문서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심사에서 탈락될 수 있다.▣ 임상시험(Clinical trials)본지에서는 올바로 수행된 임상시험의 결과에 대한 연구내용을 심사한다. 모든 임상시험은 WHO 국제 임상시험 등록 플랫폼(WHO International Clinical Trial Registry Platform)에 속한 공개용 주 등록부(publically accessible primary register)에 등록해야 한다. 본지에서는 임상시험에 관하여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 정의하는 개념을 사용한다.임상시험 등록번호와 등록일은 모든 관련 원고에 명시되어야 하며, 이러한 세부내용은 연구원고와 함께 출판된다. 임상시험 결과를 보고하는 원고는 CONSORT 2010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하며 무작위 통제 실험의 저자는 에서 제공하는 CONSORT 체크리스트를 완성하여 투고해야 한다.임상시험을 보고하는 연구내용은 사용한 프로토콜에 대하여 동료심사를 위한 개별 문서형태로 제출해야 한다.▣ 메타분석메타분석을 다루는 연구의 경우에는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체크리스트와 제공하는 진행과정 순서도(flow diagram)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재정적 이윤(financial interest)이 경합하는 경우- 재정적 이윤 경쟁에 관한 정책이익의 투명함을 추구하는 차원에서 잠재적 편파성에 대한 독자들의 개인적 판단이 가능하도록 저자는 설명하는 연구에서 발생가능한 모든 재정적 이윤들을 밝혀야 한다. 교신저자가 모든 저자들을 대신하여 재정적 이윤 관련 내용 제출에 책임을 지며, '재정적 이윤경합(Competing financial interests)' 제목 하에 ‘추가정보(Additional Information)'의 ’저자 기여도(Author Contributions)' 다음 부분의 제출된 원고파일 내에 포함시켜야 한다. 교신저자는 제출 시 재정적 이윤 관련 내용의 존재여부를 명시하도록 되어 있다. - 재정적 이윤 경쟁에 대한 정의이윤의 경쟁이란 재정적 속성에 의해 행동이나 내용상의 발생 가능한 영향력 또는 그 영향력의 인식으로 인해 출판의 객관성, 진실성 또는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경우가 포함된다.▪ 자금지원: 이 출판을 통해 재정적 이익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조직으로부터 연구지원(급여, 장비, 용품, 출장경비 환급 등 기타 경비)▪ 채용: 이 출판을 통해 재정적 이익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조직으로부터 연구 프로젝트 시, 현재, 또는 향후 채용▪ 사적 재정적 이익: 이 출판을 통해 재정적 이익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회사로부터 주식이나 지분 제공, 이 출판을 통해 재정적 이익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조직으로부터 컨설팅 비용이나 다른 유형의 보수, 출판으로 영향을 받는 특허권.실제적으로 재정적 이윤이 심각하게 여겨지는 기준을 지정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이나, 대부분의 미국 대학에서는 교수들에게 10,000불을 초과하거나 5%가 넘는 회사 지분에 대하여 반드시 공개하도록 되어 있다. 본지에서는 현실적인 가이드라인으로“명시되지 않은 모든 재정적 이익은 당신의 연구가 출판된 후 언제든지 당신을 당황스럽게 만들 수 있다”라고 밝혀둔다.재정적 이익 경쟁 요소에서 다변화된 뮤추얼 펀드나 투자신탁은 고려되지 않는다.어떤 연구자들은 비밀리에 계약을 맺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출판 팀은 수사를 확대하거나 온라인으로 연구자들이 공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지에서는 연구자가 그들이 받은 재정적 이익의 통화가치에 대해서 말하도록 요구하지는 않는다. - 재정적 이윤 경쟁 언급에 대한 형식의 가이드라인원고내용에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은 명확하고 모호하지 않아야 한다. 각 기고 연구자에 대하여 모든 가능한 경합하는 재정적 이익에 대하여 설명하여야 한다.▣ 자료와 데이터의 이용가능성출판이 되는 경우에는 다른 사람들이 저자의 출판물에 제시한 결과를 복제할 수도 있고 저자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른 사람의 연구가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 전제된다. 그러므로 본지에서는 출판물의 저자는 독자들이 관련 규약에 대한 서약 부담 없이 자료나 데이터, 또는 관련 프로토콜을 즉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료나 정보의 사용에 관한 특정 제한이 필요한 경우에는 원고 제출 시 반드시 출판 담당자에게 알려야 하며, 관련 내용을 제출돤 원고에 공개하고, 독자가 자료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밝혀야 한다. 자료가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에서 얻어진 경우에는 원고에서 밝혀야 할 것이다.데이터는 편집위원회 멤버와 제출된 원고의 평가자가 접근가능해야 한다. 평가자는 자료와 연구방법 및 데이터들에 대한 접근과 관련되는 의견을 제출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본지에서는 저자가 자료 공유에 관한 본 출판사의 요구사항에 따르지 않는 경우 출판을 거부할 권리를 갖는다. 출판 후, 저자가 위와 같은 규정을 어김으로써 자료 공유에 문제를 겪는 독자는 본지 출판 팀에게 연락할 수 있다. 본지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저자의 연구지원기관에 알리거나 독자가 투고된 내용과 관련된 자료들을 활용하기 어려웠음을 알리는 내용을 온라인상에 공식적으로 올릴 수 있다. 특정 자료, 데이터 및 연구방법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본지 홈페이지에 자세히 나와 있다. 대량의 데이터세트를 공유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공용 저장소(public repositories)를 이용하는 것이다. 일부 저장소에서는 기밀 옵션을 제공하여 공식출판 전에는 필요한 심판원에게만 허용하기도 한다. 이들 저장소에서는 저널 출판 날짜에 맞춰 데이터의 공식 발표를 조정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옵션은 가능한 경우에만 사용되어야 하며 출판 일 직후에 데이터가 공식 발표되도록 저자가 책임지고 저장소와 합의하여야 한다. 보조 데이터세트는 출판 시 본지에서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도록 부록정보(Supplementary Information) 파일로 제공해야 하며, 기술적으로 파일 제공이 힘든 경우에는 저자가 원고 제출 시 편집위원회와 심판원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하고, 출판 이후에는 필요한 독자들에게 직접 제공하거나, URL을 제공하거나 또는 원고내용에서 고유 식별번호를 제공해야 한다. Springer Nature에서는 저자와 편집위원회를 위해 연구데이터정책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researchdata@springernature.com로 연락하면 된다. 이 서비스에서는 연구데이터 정책 준수문제와 연구데이터 저장소 검색에 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서비스는 본지 Scientific Reports 편집 및 출판국과는 관련이 없으며 특정 원고내용에 대하여 언급하지 않는다.- 데이터 사용가능성에 관한 언급에 대한 형식‘데이터 사용가능성(Data Availability)’ 이름 하에 연구방법론 부분의 마지막에서 언급되어야 한다. 연구방법론 부분이 없는 연구에서는 참고문헌(References)이나 감사의 글(Acknowledgments) 중 먼저 나오는 것의 앞의 독립된 부분에서 언급하여야 한다. 데이터 사용가능성 부분에서는 활용될 수 있는 곳, 접근코드, 기타 고유 식별번호나 공용 데이터세트에 대한 관련 웹 링크, 비공개되어야 하는 데이터세트에 대한 조건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연구내용에서 설명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 사용가능성은 아래에 나오는 유형 중의 한 가지. 또는 복합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생성되거나 분석된 데이터세트는 [NAME] repository, [PERSISTENT WEB LINK TO DATASETS]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생성되거나 분석된 데이터세트는 정당한 요청 시에 교신저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 본 연구에서 생성되거나 분석된 데이터세트는 출판된 기사(및 추가정보 파일)에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생성되거나 분석된 데이터세트는 [REASON(S) WHY DATA ARE NOT PUBLIC]로 인해 공개적으로 사용될 수 없으나 정당한 요청 시에 교신저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생성되거나 분석된 데이터세트는 없다.• 본 연구의 결과를 지원하는 데이터는 [THIRD PARTY NAME]에서 찾을 수 있으나, 현재 연구에 대한 라이센스 하에서만 사용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사용에는 제한이 있어 공개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정당한 요청에 따라 저자가 [THIRD PARTY NAME]의 허가를 받아 데이터를 이용가능하다.- 생물학적 자료에 대한 공유본지의 출판 상의 조건은 저자는 어떠한 사전 조건 없이 모든 자료와 데이터, 그리고 관련 프로토콜을 필요한 사람들에게 즉각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돌연변이 균주와 세포주(cell lines)과 같은 자료의 경우 본지에서는 저자가 이미 존재하는 공용 저장소(예를 들면, Jackson Laboratory, the European Mouse Mutant Archive (EMMA), the European Conditional Mouse Mutagenesis Program (EUCOMM), the Knockout Mouse Project (KOMP), Addgene, RIKEN Bioresource Centre, the Mutant Mouse Regional Resource Centers,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mericas),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sia/Europe), UK Stem Cell Bank)를 사용하도록 하고 연구원고에서는 접근번호를 제시하도록 한다.<세포주(Cell lines)>연구에서 사용되는 인간 세포주의 분배는 기증자의 제약사항으로 인해 제한을 받아서는 안 된다. 세포주를 개발하는 연구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인간 또는 다른 세포조직과 관련있는 모든 제한사항을 조사하여 공개하여야 한다. 특히 표본을 다른 사람이 수집하였거나, 여러 임상 소스로부터 수집된 경우, 그리고 다양한 법적 관할권으로부터 수집된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연구자가 아직 불확실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세포주를 만들어야 하는 경우에는 제약이 따르지 않는 세포조직만 사용해야 한다. 승낙서가 필요한 연구의 저자는 원고 제출 시 이 승낙서로 인해 발생 가능한 사항들을 본지에 알려야 한다.<유세포분석(Flow cytometry)>유세포분석 실험을 포함하는 모든 연구에서는 연구방법 부분에서 복제 식별자(clone identifier),벤더(vendor)와 형광색소(fluorochrome)에 의한 모든 항체시약(antibody reagents)을 밝혀야 한다. 저자는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한 도구와 소프트웨어를 밝혀야 하고, 유세포분석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표나 그래프에 사용되는 축 라벨은 마커(예를 들면 CD4)를 언급하고 축의 스케일은 확실하게 가시화되어야 한다. 저자는 분석되는 세포 개수에 대하여 수치분석 값을 제공하고 관련된 세포군의 절대값 내지 백분율을 제공한다. 유세포분석 실험에 관한 설명의 일반적인 좋은 예시는 SourceForge의 MIFlowCyt 표준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다.새로운 세포군이나 주어진 분류된 세포군을 설명하는 연구는 새로운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주요 메시지의 중요한 부분이 되므로 저자는 보조 그림으로 나타내거나 원고에서 언급되는 실험에 사용되는 게이팅(gating) 전략으로 나타내어야 한다. 분류된 서브세트를 나타내는 ‘게이트’를 나타내는 그림은 유용할 수 있고 요청 시 심판관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에는 preliminary forward와 양성과 음성 오염 세포군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시작 세포군의 side scatter gates이 포함된다. 특정 세포군을 배제시키기 위하여 항체의 'cocktails'를 사용하는 예비 분류의 경우에는 'cocktail'에 포함되어 있는 항체와 형광색소가 'dump' 채널을 위해 지정되어야 한다.- 데이터세트 공유본지의 출판 상의 조건은 저자는 어떠한 사전 조건 없이 모든 자료와 데이터, 그리고 관련 프로토콜을 필요한 사람들에게 즉각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데이터세트는 출판일로부터 독자가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고 원고 평가를 위해 원고제출 시 편집위원회와 심판관에게 제공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유형의 데이터세트의 경우에는 해당 분야에서 권장하는 공용 저장소에 제출하는 것이 필수이고 접근번호를 연구논문에 밝혀둔다. 적절한 공영 저장소의 예는 다음과 같다:- DNA, RNA 및 protein sequencesProtein sequences: UniProtDNA와 RNA sequences: Genbank/European Nucleotide Archive (ENA)/DNA DataBank of Japan (DDBJ), Protein DataBank, UniProt.DNA와 RNA sequencing data (traces for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short reads for next-generation sequencing): NCBI trace and short-read archive, ENA's Sequence Read Archive.Genetic polymorphisms: dbSNP, dbVar, European Variation Archive (EVA).Linked genotype과 phenotype data: dbGAP, European Genome-Phenome Archive (EGA). 인간 대상 실험의 데이터 또한 적절한 접근 통제가 이루어지는 공용 저장소에 제출되어야 한다. 민감한 데이터(예를 들어 전자 의료 기록, 법의학 관련 데이터 또는 취약 계층의 개인 정보)의 경우에는 제약사항에 대한 이유와 성격을 밝혀야 하고 데이터에 접근가능하거나 재사용될 수 있는 조건의 세부사항을 설명해주어야 한다.Deep sequencing 데이터: 저널에 원고제출 시 Gene Expression Omnibus (GEO)나 ArrayExpress 에 제출하고 접근번호는 출판되는 원고에서 제공한다.이러한 규정은 epitopes, functional domains, genetic markers, 그리고 haplotypes와 같은 short stretches of novel sequence 정보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Short novel sequences는 상황설명을 위해 주변 sequence 정보도 포함해야 한다.모든 RNAi, antisense and morpholino 조사의 sequence는 연구내용에 포함시키거나, 인용된 접근번호가 있는 공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켜야 한다. 출판되지 않은 라이브러리가 연구내용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최소한 조사 sequence가 연구의 결론내용의 중심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주어야 한다.- 고분자 구조(Macromolecular structures)생물학적 고분자 구조를 다루는 연구논문의 저자는 Worldwide Protein Data Bank (wwPDB)로부터 공식 유효성 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원자좌표(Atomic coordinates) 및 관련 실험 데이터(structure factor amplitudes/intensities for crystal structures, 또는 restraints for NMR structures)는 아직 공용으로 인정되는 데이터베이스(예를 들면, Protein DataBank, UniProt, Nucleic Acid Database or Biological Magnetic Resonance Data Bank)에서 자유로이 접근하지 못한다면 원고 평가를 위하여 편집위원회에서 요청하는 경우 제공해주어야 한다. Electron microscopy-derived density 지도와 좌표 데이터는 Electron Microscopy Data Bank (EMDB)에 저장해야 하며 이때 접근도를 ‘출판시 즉각적으로 공표’로 정한다. 공용 저장소가 없는 경우, 그리고 데이터세트의 크기가 너무 커서 저널에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저자가 이들 데이터를 적절한 형식(CD나 DVD)의 2개의 개별 사본으로 만들어 동료심사용으로 출판팀에 보내야 한다. -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Microarray data)MIAME-compliant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본지에 원고제출 시 GEO나 ArrayExpress에 제출해야 한다.마이크로어레이 표준을 규정하고 있는 FGED 웹사이트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데이터는 MIAME-compliant이어야 한다. - 소분자(small molecules)를 위한 결정학적(Crystallographic) 데이터결정학적 분석을 통한 소분자의 새로운 3차원 구조를 다루는 연구원고에서는 .cif 파일과 출판을 위해 추가정보란에 probability ellipsoids와 구조그림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들 파일은 IUCR's CheckCIF 루틴을 사용하여 점검해야 하며 결과물의 PDF 출력본이 보고된 모든 경고사항에 대한 검증내용과 함께 원고 제출 시 포함되어야 한다. 소분자에 대한 결정학적 데이터는 Cambridge Structural Database에 제출되어야 하고 저장번호는 원고 내에서 적절하게 언급되어야 한다. 완전한 접근은 출판 시에 허용된다.- 단백체학(Proteomics) 데이터단백체학(Proteomics) 데이터의 경우: PRIDE, PeptideAtlas, Tranche질량분석기(mass spectrometry-based) 단백체학 기법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결과를 다루는 저자는 연구의 결론부분을 뒷받침하는 원본 MS/MS 데이터를 공용 저장소에 저장해야 한다.- 기타 데이터세트 이제까지 언급한 해당분야에서 추천하는 공용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제출해야하는 필수사항이외에, 본지에서는 기타 다른 유형의 데이터의 경우에도 개발 초기 단계에 있는 적절한 공용 저장소에 저장할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 대량의 데이터세트 공유를 장려하는 저장소 중의 일부는 출판 전 익명의 심판관이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Protein interaction 데이터의 경우: DIP, IntAct와 MINT를 포함하는 IMEx consortium of databases Cryoelectron micrographs의 경우: EM Data Bank (cryo-EM의 경우에는 단일화된 데이터 리소스)Chemical compound screening and assay data의 경우: PubChem본지에서 추천하고 있는 이 외의 데이터베이스에는 IntAct와 the Global Proteome Machine Organization이 있다.본지에서 추천하는 지구과학 분야 데이터베이스로는 지구과학과 환경과학 데이터를 위한 출판 네트워크인 Pangaea; 해양층의 암석에 대한 지구화학 데이터의 경우에는 PetDB; 그리고 해양과 대륙의 암석에 대한 지구화학의 경우에는 GEOROC가 있다. World Data Center system;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또한 참조하길 권한다.천문학과 천체물리학 분야: NucAstroData; Plasma gate; Smithsonian/NASA Astrophysics Data System;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UK Solar System Data Centre.물리학: NIST Physical Reference Data; HepData reaction data.생물학: ITIS (분류학(taxonomy)); NCBI Taxonomy; Species 2000; National Center for Ecological Analysis and Synthesis; Dryad.▣ 디지털 이미지 정확성(integrity)과 표준초기 원고 투고 시에는 고해상도 이미지일 필요가 없으나, 논문 초안이 승인되면 출판팀이 출판에 적절한 고해상도의 파일을 요구하게 된다. 최종 버전의 원고와 함께 제출되는 디지털화 이미지는 가능하다면 300DPI이상이어야 하며 특정 수준의 이미지 처리가 출판에 적절하더라도 최종 이미지는 원본 데이터를 정확하게 나타내야 하며 관련분야의 표준에 부합되어야 한다. 저자는 데이터 확보 시 오류가 생기지 않도록 신중해야 하며 연구원고의 ‘장비 및 셋팅’ 부분에 본 지침서에서 요구하는 대로 각 그림에 대하여 적절한 도구(instrument) 셋팅, 이미지 확보 조건 및 프로세스 변경 등을 설명하는 방법을 포함시켜야 한다.▪ 저자는 모든 이미지 확보 도구와 사용된 이미지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명시하여야 하며, 방법 부분에서 핵심 이미지를 확보하기위한 셋팅 방법과 프로세싱 처리 방법을 문서화하도록 한다.▪ 결과 이미지가 시간대별 평균 데이터 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연속적인 데이터인 경우를 제외하고, 다른 시간과 다른 장소에서 수집한 이미지를 단일이미지로 통합해서는 안 된다. 병치(juxtaposing)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그림에서 경계선으로 확실하게 구분해주고 주석에서 잘 설명해준다.▪ 포토샵의 복제 및 보정을 위한 터치업 도구의 사용이나 고의적으로 흐릿하게 하는 기능 같은 것은 피해야 한다.▪ 밝기와 명암 변화 같은 처리는 전체 이미지에 동일하게 적용하거나 일관적인 통제 하에서 적용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대조효과로 데이터가 사라지도록 조절할 수 없다.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강조하기 위한 처리 같은 과도한 조작은 통제에 비해 실험 데이터를 강조하므로 부적절하다. 조건부 승인으로 수정된 최종 그림을 제출할 때에는 저자는 가공 처리되지 않은 원본 이미지를 함께 제출하도록 요구된다.- 전기이동(Electrophoretic) 젤(gels)과 블랏(blots)분자크기 마커뿐 아니라 양성 및 음성 콘트롤 또한 각 젤과 블랏에 주 그림이나 확장 데이터 보조 그림으로 포함시켜야 한다. 이전에 구분되었던 항체의 경우에는 해당되는 적절한 언급이 제공되어야 한다. 연구의 시스템에서 잘 구분되지 못한 항체에 대해서는 항체의 특이도(specificity)뿐만 아니라 시금분석 시 시약의 반응 범위까지 나타내는 자세한 특성을 부록정보로 출판해야 한다.본 연구에서 절단된 젤과 블랏을 보여주는 것이 명확성과 간결한 표현을 위해 도움이 된다면 권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단내용은 그림의 서술적인 설명에서 언급되어야 하며 부록정보에 사용가능한 전체적인 젤과 블랏을 포함시켜야 한다. 이들 절단되지 않은 이미지는 본문내용에서 라벨화되어야 하며 단일 추가 그림으로 보여준다. 연구원고의 그림 설명에서 ‘전체적인 블랏/젤이 추가 그림X에서 설명됨’라고 밝혀야 한다.▪ 서로 다른 젤/블랏 상의 표본간의 양적 비교는 추천하지 않는다. 반드시 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림설명에서 표본이 동일한 실험에서 추출되었고 젤/블랏이 병행하게 처리되었음을 밝혀야 한다. 젤에서 인접해있지 않은 레인들로 병렬화된 수직으로 잘려진 이미지들은 확실한 구분이 있거나 젤 간의 경계를 말해주는 검은 선이 있어야 한다. 로딩 컨트롤은 같은 블랏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 연구에서 절단된 젤들은 중요한 밴드를 유지하여야 한다.▪ 연구 본문의 절단된 블랏은 적어도 밴드 위아래로 6개 이상 밴드의 너비를 유지하여야 한다.▪ 대비 차이가 큰 젤과 블랏은 추가 밴드를 가릴 수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는다. 저자는 회색 배경에서 노출하고자 노력해야 하며,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다중 노출이 추가정보에 제시되어야 한다. 면역주사(Immunoblots)의 경우에는 블랏의 경계를 나타내기 위해 배경이 희미한 경우에는 검은색으로 테두리를 그어준다.▪ 양적 비교를 위해 적절한 시약, 컨트롤 및 선형 시그널 범위가 주어진 이미지처리 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현미경 사용(Microscopy)저자는 필요시 연구에 사용된 이미지가 생성된 곳에서 수집된 해상도의 원본 데이터를 본지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여러 개의 필드에서 온 세포들은 단일 필드에 나란히 놓을 수 없다. 대신에 셀들의 다양한 지원 필드들을 부록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조절(Adjustments)은 전체적인 이미지에 적용되어야 한다. 임계점 처리, 시그널 범위에 대한 확장 및 축소, 그리고 높은 시그널의 변경 등은 피해야 한다. ‘가상 컬러링(pseudo-colouring)'과 비선형 조절(예를 들어 감마변경)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공개해야 한다. 개별 색상 채널의 조절은 ’합체된‘ 이미지 같은 경우에 필요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반드시 그림설명에서 밝혀야 한다. 본지에서는 출판을 위한 최종 수정버전의 원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할 것을 권한다:▪ 연구방법 부분에서, 장비의 종류(현미경/렌즈, 카메라, 디텍터, 필터 모델 및 batch번호)와 사용한 소프트웨어를 밝힌다. 도구 간에 약간의 변동은 가능하나 중요한 측정에 필요한 장비설정은 나열해주어야 한다.▪ 연구방법 부분의 ‘장비와 설정’부분에서 각 이미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제시해주어야 한다. · 시간과 공간 해상도 정보(xyzt와 픽셀 차원)를 포함하는 즉 확보관련 정보 · 이미지 비트 깊이(depth) · 온도와 이미지 처리 매체와 같은 실험 조건 · 형광색소(fluorochromes): 측정파장 길이와 범위, 필터와 dichroic beam- splitters 등▪ 디스플레이 룩업 테이블(LUT)와 LUT와 비트맵간의 양적 지도는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무지개 색상의 가상컬러가 사용되는 경우는 주의해야 한다. LUT가 선형이고 전범위의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언급해야 한다. ▪ 처리에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이름과 작업내용에 대하여 언급해야 한다.▪ 저자는 이미지가 확보된 당시의 측정된 해상도를 언급하고 이미지의 해상도 향상을 위한 다운스트림 처리방법이나 평균화가 있었던 경우에는 밝혀야 한다.▣ 생물학적 안전조치(Biosecurity)에 관한 우려- 생물학적 안전조치에 관한 규정본지 편집위원회 위원들이 투고된 논문 초안에서 우려가 생길 수 있는 특정 분야에 대하여 편집 자문 패널이나 사내(in-house) 출판 팀에 자문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에는 윤리적인 문제나 데이터 또는 자료 관련 문제 뿐 아니라 아주 드물게는 안전에 대한 위협 문제를 포함하여 논문 출판업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보통 기술적 측면의 동료 심사 과정과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생물학적 무기(bioweapon)로 발생 가능한 위협 같은 경우에는 출판으로 인한 위험과 이점 간의 균형을 신중하게 평가해야 하는 특별한 경우에 해당하며, 이처럼 우려가 심각한 경우에는 편집위원회 자체로는 적절한 판단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공개적으로 널리 알게 함으로써 사회 전체에서 발생 가능한 위협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준비할 수 있다는 것이 과학계의 전반적인 견해이고, 출판을 통해 얻는 이득이 출판으로 얻는 위험보다 큰 것이 대다수의 경우라고 인지되는 경우라 할지라도 이러한 문제들에 관한 관련 규정과 정책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일단 결정이 내려지면 저자에게 생물학적 안전조치 관련 자문이 고려되었다는 것을 통보한다. <저널 편집자 의견>을 참조하기 바란다.▣ 수정(correction) 및 철회(retraction)- 수정(correction) 및 논문 철회(retraction) 정책본지에서는 동료 심사된 내용의 수정 절차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규정을 갖는다.출판이 가능한 개정(amendment)작업은 출판 기록 및 출판된 정보의 과학적 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공식적 온라인 공지형식으로 알려야 한다. 동료심사가 끝난 자료에 관한 개정작업인 경우에는 ‘출판자 수정(이전의 Erratum에 해당)’, ‘저자 수정(이전의 Corrigendum에 해당)’, ‘철회’ 또는 ‘추가’ 중에 한 경우에 속한다.▪ 출판자 수정(Publisher Correction): 출판 기록 및 논문의 과학적 진실성에 영향을 줄 수 있거나, 저자 및 저널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저널 내에서 생긴 중대한 오류▪ 저자 수정(Author Correction): 출판 기록 및 논문의 과학적 진실성에 영향을 줄 수 있거나, 저자 및 저널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저자(들)에 의해 생긴 중대한 오류▪ 철회(Retraction): 잘못된 결과를 통지하는 것으로 오류를 명시하고 그 오류가 어떻게 결론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설명이 따르는 철회조치에 모든 공동 저자들이 서명하여 제출해야 한다. 공동저자들이 모두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내 출판자들이 독립적인 심사위원들로부터 자문을 구해 가장 적절한 수정안을 제시하는데, 이때 동의하지 않는 저자들을 출판물에서 밝힌다.▪ 추가(Addendum): 추가 정보에 대한 통지로써 사내 편집자들이 출판된 논문의 주요 연구 내용을 독자들이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경우- 편집상의 의사결정수정 유형에 대한 결정은 사내 편집자의 결정에 따르게 되며 경우에 따라 심사위원, 편집자문패널 또는 편집위원회의 자문이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연구물 저자와의 상담도 포함되나 수정 필요 여부와 어떤 카테고리의 수정이 필요한 지는 사내 편집자가 최종 결정을 내린다. 수정 사항이 출판될 때에는 수정되는 기사와 상호 링크로 연결해준다. 간혹 저자가 출판된 글에서 독자의 이해에 별 영향을 주지 않는 부분(예를 들어 철자법이나 문법 상의 오류)의 수정을 요구받는 경우, 본지에서는 이러한 수정 내용은 출판하지 않는다. 온라인 기사는 출판된 기록의 일부분이므로 원래 출판된 버전은 그대로 보존된다. 그러나 본지에서는 PDF 버전과 비교해볼 때 일맥상통하지 않는 html 버전의 문맥은 수정하고 수정 내용을 주석에 언급하여 독자들이 원래 출판된 원문이 개정되었음을 알도록 한다.- 수정 유형별 상세 설명▪ 출판자 수정(Publisher Correction, 이전의 Erratum에 해당)은 저널 측에 의해 제작 시 발생된 오류에 대한 수정을 말한다. 예를 들면 저널 측의 기한 내에 저널 측의 규정에 따라 저자가 요구한 사실 증명에 대한 수정을 빠트린 것과 같은 것으로 출판자 수정 내용은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명백한 표기상의 오류는 출판하지 않으나, 중요한 내용일 때에는 출판하게 된다. 그림 상의 표기에 관한 오류인 경우에는 보통 정정의 문장을 출판하게 되며, 그림 자체에 심각한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수정된 그림을 출판한다. 그림은 편집위원회에서 독자의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만 재출판 한다.▪ 저자 수정(이전의 Corrigendum에 해당)은 독자와의 연관성과 출판된 기록에 대한 중요성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저자 수정은 편집위원회, 편집자문패널과 출판팀에서 상의한 후에 출판된다. 모든 공동 저자들이 동의한다는 글에 서명해야 이루어진다.원저자가 제출한 저자 수정 내용은 처음 원고의 정확성과 재현성이 잘 어우러질 때 출판되는데, 가끔 조사 내용에 따라 철회로 출판될 수 있다. 공동 저자들 중 일부가저자 수정이나 철회 조치에 서명하지 않는 경우, 본지에서는 동의하지 않는 저자들을 밝히며 출판시킬 수 있는 권리를 갖는다. 본지에서는 출판된 저자 리스트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저자 수정을 취하나 감사의 글에 빠진 부분에 대하여는 수정조치하지 않는다.독자 중 중요한 출판된 오류를 지적하고자 하는 경우, 출판팀에 문의하면 된다.▪ 철회는 연구의 주요 결론부분이 저자가 출판 당시에는 인지하지 못했던 후속 정보들의 결과로 달라지거나 훼손된 경우에 발생한다. 실험연구의 경우에는 저자 또는 원 출판내용의 실험결과를 확신하지 않는 다른 연구자가 심층 실험을 더 진행할 수도 있다. 출판된 연구의 철회 문제를 위하여 편집위원회의 관심을 제기하고자 하는 독자는 먼저 처음 연구원고의 저자에게 문의한 후 그 저자와의 소통내용(소통가능여부)에 대한 사본을 포함하여 출판팀에게 서면으로 알려준다. 출판팀과 편집위원회에서는 접수된 정보내용이 출판된 연구의 주요 결론내용에 의문점을 갖게 하는 경우 심사위원에게 자문을 요청한다.▪ 추가(Addendum)는 보통 독자의 분류를 위한 요청에 따라 연구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내 편집자가 출판된 원고의 주요 부분을 독자가 이해하는 데 추가 내용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경우에 우려에 대한 편집상의 표현과 함께 추가 내용을 제공한다. - 보조(Supplementary) 정보(Information)보조 정보에 대한 저자 수정은 특별한 경우(예를 들면 연구의 결론에 해당하는 치명적인 오류)에만 이루어진다. SI에 대한 출판된 수정내용은 저자 수정 문장과 링크로 연결되며, SI는 동료심사되며 원고와 통합되는 내용이므로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가고 해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저자가 업데이트할 수 없다. SI는 웹사이트에 자료를 올리기 위하여 저널측이 기술적인 이유로 변경한 내용이 치명적인 오류를 발생시키지 않는 한 승인과 출판사이의 기간에는 수정할 수 없다.▣ 중복출판(Duplicate publication)본지에 투고된 자료는 원본이어야 하며 다른 곳에서 출판되거나 출판을 위해 투고된 적이 없어야 한다. 이 규칙은 본지가 투고된 논문 초안을 심사 중인 동안 다른 기관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지에 기고한 저자가 다른 곳에 관련 자료를 기고 중이거나 고려 중이라면 논문 초안 투고 시 확실히 명시된 복사본을 업로드하고 편집위원회가 분명히 알아볼 수 있도록 표지 부분에서 명시한다. 저자는 본지에 기고한 내용이 심사 중인 동안에도 모든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예를 들어 초기 투고 시에는 작성되지 않았었던 관련 원고를 다른 곳에 기고하는 경우도 포함된다.본지에 싣고자 하는 연구 내용의 일부분이 다른 곳에 실리거나 실릴 예정이라면, 저자는 투고되는 원고 표지에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명시해야 한다. 어떤 다른 연구 및 주요 실험결과와 결론, 의미가 명백하게 다르지 않는 경우나 다른 연구가 영어 이외의 언어로 작성된 경우와 같이 특정 상황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본지에서 신중하게 검토한다. 본지에서는 이전에 박사논문이나 인정받은 연구기관의 요청으로 출판되었던 학문적인 논문의 일부분으로 사용되었던 자료가 포함된 연구논문의 투고도 환영한다.본지에서는 저널에 공식 투고 이전에 현장의 다른 과학자들로부터 검토를 받기위해 학계에서 인증된 출판 전 논문자료 저장소(preprint server) 활용을 허용 및 권장한다. 이러한 관련된 출판 전 논문자료 저장소 정보와 접근번호는 원고 제출 시에 표지(cover letter)에 포함시켜야 하며, 단 본지에서 제출 및 심사과정 이전이나 진행 중에는 학계 이외의 범위에서나 방송 매체에서 사용하는 저장소에는 허용하지 않는다. 본지에서는 온전한 원고가 제출되기 전에 회의개요(meeting abstract)의 출판은 허용하나, 이는 원고의 표지에서 언급되어야 하고 원고 제출 시 포함시킨다. 단 방송매체에서 사용되는 회의개요나 보고서, 또는 원고 제출 및 검토 중에 학계 이외의 범위에서는 허용하지 않는다. 본지에서는 위키나 블로그 같은 온라인상의 연구 공유(scientific collaboration)형태의 일부분이었거나, 현재 일부분인 자료를 포함하는 경우, 학계 외부에서는 공용화되지 않았던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 또는 본지의 출판일이 지나도 출판되지 않은 자료들의 투고를 기꺼이 검토하고자 하니 약간의 의심이 있는 경우에는 저자가 해당 편집위원회로부터 조언을 구할 수 있다.그림을 재사용하거나 다른 곳에서 출판되었던 그림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저작권이 있는 그림을 사용한 경우, 저자는 이전 출판자나 저작권자로부터 재사용 허락을 받았는지에 대한 확실한 문서를 제공해야 하며, 본지 편집위원회는 투고된 원고의 모든 부분들이 출판에 문제가 없는 완벽한 상태라는 믿음으로 검토한다.▣ 기밀유지(Confidentilaity)와 사전공개(pre-publicity)- 기밀유지본지에서는 투고된 원고의 모든 것에 대하여 기밀로 다루며 검토 중이거나 탈락된 원고에 대하여도 일체 언급하지 않는다. 일단 원고가 투고된 후에는 최종 출판여부와 관계없이 본지와 소통했던 내용, 심사위원 보고서 및 기타 기밀 자료들은 사전 허락 없이 어떤 웹사이트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공개될 수 없다. 편집위원회 위원들도 투고된 원고에 관해 다른 어떤 제3자와도 말할 수 없으며 저자와 심사위원간의 오갔던 내용들에 대한 정보도 공개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본지에 제출된 연구에 대한 심사위원들은 미리 원고와 관련 모든 보조 데이터에 대한 기밀유지를 시작한다.- 사전공개(pre-publicity)연구 원고의 특정 버전의 게시와 관련된 규정은 다음과 같다.1. 투고 이전의 버전이나 투고된 원고의 원안을 개인적 블로그나 공동 위키 또는 출판 전 논문자료 저장소(preprint server)에 게시하는 것은 언제나 무방하다.2. 본지 연구기사는 공개적으로 접근가능하고 처음에 투고된 버전을 즉시 또는 출판 시에 본지 웹사이트 상의 출판된 버전에 출판참조(reference)와 URL을 동반하여 바꿀 수 있다. 본지의 저자는 보도금지(embargo) 날짜가 정해진 경우와 같이 사전에 합의된 경우 외에 다른 매체(다른 과학저널을 포함하여)와 연구내용을 논의할 수 없다. 과학 관련 회의에서 본지에 투고된 자료에 대한 발표나 논의를 하는 것을 권장하며, 이때 저자는 보도금지기간을 준수하고, 다른 매체 관련자들과는 논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백히 밝힌다. 저자는 프로시딩(proceeding)에서 사용된 개요는 출판가능하며, 투고된 또는 출판 중인 논문의 출판 전 논문자료를 연구동료를 대상으로 배포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 본지에 투고되었거나 투고용으로 준비한 연구내용은 인정된 ArXiv와 같은 출판 전 논문자료 저장소나 위키 및 저자 블로그에 게시될 수 있다. 관련 웹사이트와 URL이 논문 투고 시 표지에 명시되어야 하며 웹사이트와 논문저장 저장소를 통해 매체에 광고되어서는 안 된다. 연구내용에 포함된 자료들은 박사논문이나 다른 학문적 논문의 일부분으로 출판될 수 있다. 공식 학명(nomenclature)이나 새로이 발견된 종(species)같이 분류법(taxonomy)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된 연구에서는 제3자가 사전인쇄(preprint) 형태로 온라인으로 올리는 것과 저널에서의 출판 날짜 간의 시간을 이용하여 우선순위를 주장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본지에서는 이러한 온라인상의 포스팅이나 사전 인쇄로 인해 발생 가능한 우선순위 관련 문제에 대하여 책임을 갖지 아니한다.▣ 표절(Plagiarism)및 위조(Fabrication)표절은 다른 사람 누군가의 작업 내용을 자신의 것으로 가져오는 행위를 말한다. 자기표절(self plagiarism)이라고도 표현되는 중복게재는 자신이 이미 출판했었던 연구 내용의 주요부분을 적절한 참조표시 없이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여러 개의 저널에 동일한 논문을 게재하는 경우에서부터 소량의 적은 데이터를 이전 논문에서 잘라 조금씩 덧붙이는 이른바 ‘살라미 슬라이싱(salami slicing) 경우까지 다양하다. 표절은 커다란 덩어리의 원문들을 잘라서 붙였을 때(cut & paste) 명백하게 알 수 있고, 이러한 원고는 본지에서 출판의 심사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이전 논문의 도입 일부분을 재사용하는 것과 같은 심각한 나쁜 의도 없이 저질러진 경미한 표절이 대부분이다. 본지 편집위원회는 어떤 경로를 통해 표절을 알게 되던 지 그 자체 행위에 근거하여 판정을 내리게 된다.네이쳐 연구지는 편집자가 투고된 원고의 고유성을 검증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의 일환으로써 CrossCheck에 참여한다. 이 과정의 일부분으로써 본지는 투고된 원고를 CrossCheck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확인한다.- 다른 사람의 연구에 대한 정당한 평가(due credit)▪ 출판되지 않은 연구에 대한 논의: 모든 출판되지 않은 인용된 데이터가 적절한 평가를 받고 적절한 사용허가를 받았다는 조건 하에 원고의 검토를 위해 보낸다. 공증된 데이터가 인용되는 경우, 저자는 원저자의 동의를 얻었음을 확인하는 문서를 제출해야한다. 심사자는 데이터베이스나 그 외 다른 출처(source)에서의 출간되지 않은 데이터 사용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할 것을 요구받는다. 이 때 우려사항이 있을 때에는 본지에 알려야 한다.▪ 출판된 연구내용에 대한 논의: 다른 사람의 출판된 연구내용에 관하여 논의할 때에는 저자가 이전연구의 기여에 대하여 적절하게 설명해야 한다. 지적인 기여도뿐만 아니라 기술적인 발전에 대한 부분도 적절한 방법으로 인용해서 인정해야 한다.